감 주산지 섬진강변에 대숲이 조성된 이유

작성자 정보

컨텐츠 정보

본문

3639886574_lcWsR0IG_94ac7b2c5c26cf76f44e92ecf286ae65eb824c52.jpg
'날이 저물어 구례현에 이르니, 일대가 온통 쓸쓸했다. 구례읍성 북문 밖으로 가서 잠을 잤다. 주인은 이미 산골로 피난 갔다고 한다. 곧바로 손인필이 곡식을 갖고 찾아왔다. 손응남은 올감(早枾)을 바쳤다.'
 
1597년 8월 3일 자 이순신의 <난중일기>다. 백의종군하던 이순신이 다시 삼도수군통제사가 돼 조선수군 재건에 나선 첫날 구례에서의 이야기다. 때는 여름 무더위가 끝나고, 초가을 내음이 묻어나기 시작한 양력 9월 13일이었다.
 
이순신은 손응남이 갖고 온 올감을 한입 베어 물며 원기를 되찾았다. 올감은 이른 감, 갓 수확한 조생종 햇감이다. 이순신은 감을 먹으며 결기를 다잡았다. 일본군과의 기나긴 전쟁에서 승리하는 달콤한 상상도 했을 것이다.
 
구례에서 하룻밤 묵은 이순신은 이튿날 이른 아침 길을 나섰다. 섬진강변을 따라 구례구를 거쳐 압록 방향으로 걸음을 재촉했다. 지금의 섬진강변 대나무숲과 병방마을을 지나는 강변길이다.
  
3639886574_MB3lNoFx_e89e03157fd671b10ebb246911f070e707cc80f7.jpg
  
3639886574_GzQXEJqh_8c99ff805f64dda6677ca5548cd3987f5b3a4768.jpg
 
오늘날 구례 특산이 된 감이 섬진강변에 지천이다. 강변은 물론 구릉과 산자락, 마을 주변 논과 밭에도 온통 감나무다. 집 마당에도 감나무 한두 그루씩 다 자라고 있다. 한여름 햇살에 감나무는 기진맥진하지만, 감은 튼실하게 몸집을 키우고 있다. 마을이 더 정겹게 다가온다. 감나무 있는 집은 어디라도 고향집 같아서다.
 
감나무가 지천인 병방마을은 전라남도 구례군 구례읍 원방리에 속한다. 마을이 병방산 아래에 자리하고 있다. 마을 이름은 본디 '잔수(孱水)' '찬수(燦水)'였다. 조선 태조 때 설치된 역참(驛站)이 문을 닫고 관반(館伴)이 철수하면서 병마산은 '병방산'으로, 찬수는 '병방(丙方)'으로 바뀌었다.
 
역참은 마굿간과 여관을 제공하며 공적 업무를 대행하던 곳을 가리킨다. 말을 관리하면서 사람과 말이 쉴 수 있는 숙박 시설이었다. 관반은 사신 영접을 관장하는 영접도감(迎接都監)의 주무관을 일컫는다.
  
3639886574_wpFuCsW8_1e0f443c66a89627ad3504d315d4774cf7a1a9f7.jpg
  
3639886574_k8OYa2Th_5a546ae4fc7d9c05d16c5c4748f058408ec2be3d.jpg
 
강 이름도 '잔수강' '찬수강'으로 불렸다. 강물 흐르는 소리가 잔잔하다고 잔수강, 물결이 빛난다고 찬수강이었다. 섬진강의 길이는 212.3㎞에 달한다. 전북 진안에서 발원해 광양만에서 바다와 몸을 섞는, 우리나라에서 네 번째로 긴 강이다.

섬진강 하구로 침입한 왜구를 수십만 마리 두꺼비가 울부짖어 물리쳤다는 전설이 전해진다. 강 이름에 두꺼비 섬(蟾) 자가 붙은 이유다. 두꺼비강이다. 구례읍 신월리와 문척면 죽마리를 잇는 두꺼비다리가 놓인 이유이기도 하다.
  
3639886574_uemyd8kg_ecf069aa476471593965e61eb39973c647a2fec3.jpg
 
긴 강줄기를 지닌 섬진강은 구간마다 이름을 달리한다. 유역의 지형과 경관에 따라 적성강, 순자강, 섬강, 두치강, 잔수강, 악양강, 하동강 등으로 불렸다. 구례에선 '섬강(蟾江)'으로 불렸다. 잔수진(孱水津), 지금의 구례읍 신월리에서 광양만에 이르는 물줄기를 '섬강'이라 했다.
전체 내용보기

관련자료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전체 128 / 1 페이지
번호
제목
이름

최근글


새댓글


  • 글이 없습니다.
  • 현재 접속자 327 명
  • 오늘 방문자 839 명
  • 어제 방문자 3,084 명
  • 최대 방문자 11,745 명
  • 전체 게시물 2,482 개
알림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