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두의공원 | userparks.com

광주 무등산 갈 때 그냥 지나치면 아쉬운 곳

작성자 정보

컨텐츠 정보

본문

3116346118_04r58E1T_df6daa876a96ff40bd9b6b8cbd011690ea5b45b8.jpg
 
우리나라 어느 도시를 가더라도 그 지역을 상징하고 시민들이 수호신처럼 믿고 의지하는 '진산(珍山)'은 있기 마련이지만 무등산(無等山)만큼 광주 시민들의 혼과 정신이 오롯이 깃들어 있는 산은 드물 것이다.
 
광주의 상징이자 랜드마크인 무등산은 그 이름부터 범상치 않다. 통일신라 때 '무진악(武珍岳)' 또는 '무악(武岳)'으로 불리다가 고려 때 서석산(瑞石山)이란 별칭과 함께 무등산이라 불렀다.
 
비할 데 없이 높아 등급을 매길 수 없으므로 모두가 평등하고 차별 또한 없다는 뜻의 '무등(無等)'은 불교 경전에 나오는 '무등등(無等等), 무유등등(無有等等)'에서 유래했다고 한다. 그러니 무등산은 부처님이 상주하고 있는 산이라 해도 과언은 아닐 것이다.
  
3116346118_O2XBKdmj_3013de68b787112743902aa10ff257ec30076532.jpg
 
별칭으로 무돌산·무당산·무덤산·무정산 등 여러 이름 갖고 있는 무등산에는 증심사, 원효사, 약사사, 규봉암 등 유서 깊은 천년고찰 들이 즐비하다. 이 사찰들은 고려와 조선시대를 거쳐 현재 까지도 광주 불교를 이끄는 중심 도량 역할을 하고 있다.
 
절 '사(寺)'가 아니라 집 '사(舍)' 자를 쓰는 절
 

2013년 국립공원으로 승격된 이래 무등산은 해마다 약 400만 명의 탐방객들이 방문한다. 무등산을 오르고 내릴 때 이들 중 약 8할 정도는 증심사 지구를 출발점으로 선택하게 되는데 이때 맨 처음 마주하게 되는 절이 있다.
 
이름만 들어서는 '절'인지 '사당'인지 '정자'인지 구분이 잘 안 되는 '문빈정사(文彬精舍)'가 그곳이다. 보통의 절 이름은 3자인데 반해 이 절은 특이하게도 4자이면서도 '절 사(寺)'가 아니라 '집 사(舍)' 자를 쓰고 있기 때문이다. 무슨 사연이 있는 걸까.
  
3116346118_tu1qUbmf_d14fda7f3a5ed45128c0fc35307304f9844936b3.jpg
 
3116346118_ChURxfuX_9ae84804d21c4d216f4f560f64f422941108309e.jpg
 
예로부터 무등산 증심사 계곡은 '절골' '무당골' 등으로 불리며 수많은 불교 유산과 전설들이 서려 있는 곳이다. 증심사 아래는 약간의 논과 밭이 있었을 뿐 온갖 잡초가 우거져 거의 버려진 땅이었다. 계곡에서는 매일 무당들이 굿 하는 소리가 끊이지 않았다.
 
그런데 이런 척박한 땅을 사들인 여인이 있었다. 여인은 한국동란 때 평양에서 외동딸과 함께 남으로 피난 내려왔다. 온갖 고생을 해가며 광주 금남로에서 사업을 해 큰돈을 벌었으나 애지중지 키운 외동딸을 잃고 혈육이 끊어지게 되자 불가에 귀의한 장문빈(張文彬 1893~ 1987) 보살이다.
 
백양사 석산 스님에게 '보리심(菩提心)'이라는 법명을 받은 장문빈 보살이 증심사 계곡의 땅을 사들인 것은 순전히 꿈 때문이었다. 어느 날 장 여사의 꿈속에 증심사 아래에 있는 초가집 한 채가 나타났다. 다가가서 방문을 열었더니 방안에 염주가 가득하였다.
  
3116346118_Go7sZiKV_3c4504c4510f4b2e53f290000928c9804d8f6494.jpg
 
전체 내용보기

관련자료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전체 271 / 1 페이지
번호
제목
이름
알림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