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두의공원 | userparks.com

50~60대에 해외 봉사, 고민 된다면 제 얘기 들어보세요

작성자 정보

컨텐츠 정보

본문

2297685171_sVnaB14O_c9cc515dff64d06cfff82e6c1b79ca43e6edb3f3.jpg
 
나같이 50~60대의 나이에 장기간의 해외봉사를 꿈꾸지만, 한편으로 여러 상황으로 인해 고민하는 분들에게 도움이 되었으면 하는 마음으로 이 글을 적어 본다. 나는 지난 1년간 아프리카 르완다 고등학교에서 미디어교육 봉사자로서의 역할을 다하고 최근 다시 한국으로 돌아왔다. 

먼저 50대 중반의 가장으로서 자녀와 아내를 두고 단신으로 외국에 나가는 것 자체가 결코 쉬운 결단은 아니었다. 양가 어른들을 돌봐야 하는 책임도 있고 자녀를 양육해야 하는 부담이 동시에 존재했지만, 한편으로 지금 이때가 아니면 어려운 사람들을 향해 관심과 사랑을 실천하는 삶은 더욱 요원할 것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간접적으로 후원하는 등 돕고는 있었지만, 직접 몸으로 행하는 것을 미루면 안 되겠다는 결단을 내렸다. 개인적으로 마음을 정하고 나서 아내와 아이들의 이해를 구했다. 다행히 아내가 직장생활을 하고 있어서 나의 수입이 궁하더라도 생활에는 지장이 없는 게 그나마 감사한 상황이었다. 가족 모두가 흔쾌히 받아들인 것은 아니었지만 나의 열망을 이해하는 쪽으로 받아들여주었다. 

그렇게 어렵게 떠나간 아프리카 르완다의 생활은 순탄하지만은 않았다.
 
사명 또는 소명에 붙들려 왔지만, 낯선 타국에서 홀로 밥을 해 먹고 생활하면서 가르치고 사람들과 관계 맺는 것엔 어려움이 따랐다. 일주일에 한 번 한인교회에서 사람들을 만나 교제하는 것이 그나마 후련하게 한국말을 사용할 수 있는 하나의 낙이었다. 하루 일을 마치고 집에 돌아와 함께 밥을 먹으며 대화 나누고 고충을 토로할 수 있었던 가족과 아내가 없는 일상은 고독하고 힘겨운 시간일 수밖에 없었다.

이전까지는 국이나 찌개를 스스로 만들어 먹은 경험이 별로 없던 사람이었으니, 가져간 김치와 깍두기가 떨어지자 먹는 게 말이 아니었다. 서바이벌을 위해서라도 음식 재료만 생기면 이런저런 요리에 도전하지 않을 수 없었다. 해발 고도가 높은 키갈리에서는 걷는 것만으로도 체력 소모가 심했고 학교수업이 많은 날엔 더위와 에너지의 고갈로 뭐든 잘 먹어야만 했다. 

그렇게 버티기 위해 이것저것 음식을 만들어 먹기 시작하니, 미역국과 콩나물국, 된장국은 물론이고 나중엔 김치와 깍두기, 파김치까지 담아보면서 다른 단원들에게까지 반찬을 나누는 수준에 이르게 되었다. 

삶의 자리에서 쌓아온 각자의 경험, 누군가엔 빛이 되기도

파견 나온 단원들은 대부분이 청년들이지만 나와 비슷한 또래이거나 조금 더 높은 연배도 있어서 그분들과의 교제도 내겐 큰 힘이 되었다. 각기 40대, 50대, 60대 나이에 홀로 외국에 나오신 분들은 그 존재 자체가 대단한 결단과 각오로 무장된 분이어서 배울 점이 많았다. 

전체 내용보기

관련자료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전체 263 / 7 페이지
번호
제목
이름
알림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