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두의공원 | userparks.com

미국에서 '이민자의 어머니'로 추대된 인물

작성자 정보

컨텐츠 정보

본문

이주민 문제로 시끄러운 미국에서, 3월 여성의 달에 의미 있는 영화 하나가 개봉했다. 바로 여성 이민자이자, 가톨릭 교회에서 '이민자의 수호성인(Patroness of Immigrants)'으로 추대된 최초의 미국인 카브리니에 대한 영화 <카브리니>이다. 

평범한 사람들로서는 감히 가늠할 수 없는 삶을 살아내는 이가 있다. 수녀 중에 그런 사람을 꼽으라면 아마 '마더 테레사'가 쉽게 떠오를 것이다. 마더 카브리니 역시 수녀로서 빈민을 위해 평생을 살았다. 그런데 둘의 활동에는 차이가 있다. 
 
주어진 운명을 뛰어넘으라 알려준 수녀
1439719619_ZGeRP50f_adfdb28434c16a2cbe2c1d99778295a3edada9ee.jpg
  
마더 테레사가 가난한 이들, 죽음으로 향하는 이들의 곁에서 먹이고 돌보며 '주어진 가난과 운명을 받아들이도록' 도왔다면, 마더 카브리니는 '주어진 운명을 극복하고 살아갈 수 있도록' 사람과 환경을 바꾸는 데 매진했다. 어쩌면 자신의 운명을 마주한 자세의 차이일는지도, 아니면 인도의 극빈 지역이라는 환경과 뉴욕의 처참했던 이민자의 환경이 다른 방향의 사역을 하게 했는지도 모르겠다. 
 
부활절 40일 전, 예수 고난을 기억하는 주간을 '사순절(Lent)'이라 한다. 엄마가 그래서 영화를 보자는 줄 알았던 내 10대 딸은 영화에 꽤 감명을 받은 듯했다. 딸은 "이거 종교 영화가 아닌데?", 나는 "그렇다고 안 했는데?" 마주보며 웃다가 "유리관 속 안치된 카브리니를 만나러 가볼 테냐" 물으니 그러겠단다. 기차로 맨해튼에 도착해 40분은 더 지하철 타고 북쪽으로 가야 하는, 제법 먼 길을 딸과 함께 나섰다. 
   
1439719619_NkqHI20j_41f46a07f3ea6454d21d3511f1645aad04e48747.jpg
  
한국에서도 <사운드 오브 프리덤>(Sound of freedom)라는 영화가 지난 2월 개봉했다. 아동 납치와 성매매를 다룬 실화 기반 영화로 미국에서 흥행에 성공했다. 영화 <카브리니>도 이 영화를 제작한 엔젤스튜디오 작품으로, 영화 엔딩곡 "Dare to be"를 안드레아 보첼리와 딸 버지니아가 함께 불러 화제를 모았고, 영화 음악을 한인 2세 진 백(Gene Back, 백진우) 감독이 맡아 주목을 받았다.  

프란체스카 카브리니는 1850년 이탈리아의 작은 마을에서 팔삭둥이로 태어났다. 태어난 다음 날, 부모는 곧 죽을 것 같은 아기를 데리고 성당을 찾아가 세례부터 청할 정도로 몸이 약했다. 어릴 적에 의사는 그녀가 일찍 죽든지 평생 침대 생활을 할 거라 했고, 20대 초반 지원했던 수도회에서는 몸이 약한 그녀의 입회를 거절했다.

마흔 즈음 뉴욕에 갔을 때 주교는 연약한 여자들이 할 수 있는 일은 없으니 고향으로 돌아가라 했다. 'Stay There. (거기 그냥 있어)', 그녀는 뭘 더 하려 하지 말고 가만히 있으라는 말을 평생 듣고 살았다. 그리고 평생 그 말들을 하나씩 뛰어 넘으며 살았다.

그녀는 침상에서 일어나 미국 전역에서 사역했고, 수녀회를 창립했고, 도시 빈민들의 하수구 집단촌에서 광산촌 탄광까지 몸을 사리지 않고 내려가 사람들을 구했다. 40대 초반, '길어야 3년'이라던 뉴욕 어느 의사의 진단에도 67세까지 살아내며 67개 고아원, 병원, 학교와 같은 시설을 설립했다.
1439719619_mu6RUNYQ_e6515ba4e040eee81512d9d5d68e1fe2643dc61d.jpg
 
어린 시절 익사할 뻔했던 경험 탓에 물 공포증이 심했지만, 대서양을 무려 26회 이상 건너 다녔단다. 누군지 알 수 없는 이가 나타나 물에 빠진 자신을 건져주었듯, '지옥 같은 구덩이'에 빠져 사는 이들을 건져주고자 했다. 영화를 보고 있자니 성경(사무엘하 22장) 한 구절이 떠올랐다. '내가 주를 의뢰하고 적진으로 달리며 내 하나님을 의지하고 성벽을 뛰어 넘나이다.' 

영화는 빼어난 영상미와 꼼꼼한 영화적 장치로 그녀가 맞닥뜨린 난관과 심리를 훌륭히 묘사했다. 영화 속에서 카브리니는 자기를 따르는 수녀들을 격려하고 주변 사람들을 설득한다. 그때마다 그녀의 시선이 자연스럽게 영상 밖 관객에게 옮겨오며 마치 지금도 그때와 다르지 않고, 지금도 그때처럼 가난한 자, 고아와 과부, 열악한 삶의 터에 놓인 이들을 위해 무언가를 해야 한다고 말을 걸어 오는 듯했다. 
1439719619_alFjk8CI_47647346c453714832471e4f245680f1b189a478.jpg
 
원래 카브리니는 중국으로 가길 희망했었단다. 어린 시절, 카브리니 아버지는 인도와 일본, 중국을 다니며 선교했던 사비에르 성인 이야기를 딸에게 들려주곤 했다.

그녀는 신부인 삼촌에게 얻어온 왁스 종이로 배를 접고, 주변에 널린 제비꽃을 꺾어 '선교사'인 양 종이배에 태웠다. 수많은 종이배를 띄워 보내며 언젠가 자신도 중국 선교사가 되어 성인을 잇길 꿈꾸었다고 한다. 그 꿈은 그대로 그녀의 이름이 되었다. 프란체스카 '사비에르' 카브리니라고. 
전체 내용보기

관련자료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전체 259 / 5 페이지
번호
제목
이름
알림 0